경제 복잡성 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제 복잡성 지수(ECI)는 MIT 미디어랩의 세자르 히달고와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스쿨의 리카르도 하우스만이 제안한 지표이다. ECI는 국가의 수출 품목 다양성과 편재성을 고려하여 국가 경제의 복잡성을 측정하며, 경제 복잡성 관측소 웹사이트에서 관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ECI가 높은 국가는 수출 품목이 다양하고 정교하며, 낮은 국가는 수출 품목이 적고 단순한 경향을 보인다. ECI는 경제 성장 예측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2018년 기준 일본, 스위스, 대한민국 등이 높은 ECI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 지표 -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은 역대 정부의 경제 정책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특히 IMF 외환 위기 이후 성장세가 둔화된 한국 경제의 성장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경제 지표 - 경제자유지수
경제자유지수는 헤리티지 재단이 법치, 정부 규모, 규제 효율성, 시장 개방성 기준으로 177개국의 경제적 자유 수준을 평가하여 0~100점 점수로 '자유'에서 '억압'까지 5단계로 분류하는 지표이며, 경제 성장과 번영에 기여한다는 전제하에 각국 정부의 경제 정책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경제 복잡성 지수 | |
---|---|
경제 복잡성 지수 | |
유형 | 경제 지표 |
목적 | 국가 경제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측정 |
개발자 | 세사르 이달고와 리카르도 하우스만 |
발표일 | 2009년 |
참고 문헌 | 경제 복잡성 아틀라스 |
영향 | 국가의 경제 성장, 소득 불평등,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연구 |
특징 | 제품과 산업의 다양성 및 연결성을 기반으로 국가의 경제 구조를 평가 제품 공간과 네트워크 분석 활용 국가의 발전 잠재력 예측에 활용 |
측정 방법 | |
계산 방법 | 국가의 수출 구조를 기반으로 함 각 국가의 제품 다양성과 각 제품의 국가 복잡성을 반복적으로 계산 복잡성이 높은 제품을 생산하는 국가일수록 경제 복잡성 지수가 높음 |
제품 공간 | 제품 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제품 간의 공동 발생 관계를 분석 국가가 어떤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 미래 성장 잠재력을 평가하는 데 도움 |
네트워크 분석 | 경제 시스템을 상호 연결된 노드와 링크로 표현 국가의 생산 능력과 제품 간의 관계를 분석 경제 구조와 기술 지식의 흐름을 파악 |
활용 | |
경제 정책 | 국가의 경제 구조를 분석하고, 새로운 성장 기회를 식별 산업 다각화 및 기술 발전 전략 수립에 활용 |
연구 | 경제 성장, 불평등,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연구에 적용 국가 간의 경제적 차이를 이해 |
예측 | 국가의 미래 경제 성장 잠재력을 예측하는 데 활용 |
한국어 | |
한국어 명칭 | 경제 복잡성 지수 |
로마자 표기 | Gyeongje Bokjapseong Jisu |
일본어 | |
일본어 명칭 | 経済複雑性指標 |
로마자 표기 | Keizai Fukuzatsu-sei Shihyō |
참고 | |
관련 지표 | 경제 자유도 지수 인적 자본 지수 세계 혁신 지수 |
2. 배경
경제 복잡성 지수(ECI)는 MIT 미디어랩의 세자르 히달고와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스쿨의 Ricardo Hausmann|리카르도 하우스만영어이 제안하였다. ECI 데이터는 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경제 복잡성 관측소영어라는 데이터 시각화 웹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다. 원 논문은 2009년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에 발표되었다.[1][2]
엄밀한 수학적 정의에 따르면 경제 복잡성 지수(ECI)는 국가 간을 잇는 행렬의 고유 벡터이다. ECI는 국가의 다양성과 수출 품목의 편재성 두 가지를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국가가 얼마나 다양한지, 그리고 그 국가의 산업이 얼마나 정교한지를 모두 측정할 수 있다.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히달고와 하우스만은 경제 복잡성 지수(ECI) 개념이 설명적 지표일 뿐만 아니라 경제 성장 예측 기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들의 2011년 공저 《경제 복잡성 아틀라스》(원제 The_Atlas_of_Economic_Complexity|아틀라스 오브 이코노믹 컴플렉시티영어)[3])에서 제시된 통계 모델에 따르면[4], ECI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예측과 관련하여 세계경제포럼의 거버넌스 및 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국제 경쟁력 지수"나 인적 자본과 같은 기존 지표보다 더 정확하게 예측했다고 한다.
경제 복잡성 지수(ECI)는 한 국가의 생산 구조를 분석하여 그 다양성과 복잡성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이 지수가 높을수록 해당 국가는 더 다양하고 복잡한 제품을 생산하며, 이는 높은 경제 성장 잠재력을 의미한다.[6]
3. 개념
어떤 국가의 ECI가 "높다"는 것은, 그 국가의 수출 품목이 다양하고, 편재성이 낮은 (예를 들어 로봇 암은 개발할 수 있는 국가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편재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 품목이며, 다양성이 높은 국가에서 생산된다는 것을 나타내며, 일본(2012년 ECI는 약 2.2로 세계 1위)이나 독일(약 1.9) 등이 해당한다.
반대로 어떤 국가의 ECI가 "낮다"는 것은, 그 국가가 적은 품목만 수출하고, 그것들이 편재성이 높은 (예를 들어 펄프나 철 스크랩 등) 품목이며, 다양성이 높지 않은 국가에서 생산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앙골라(2012년 ECI는 약 -2)나 이라크(약 -2.3) 등이 해당한다.
4. 대한민국의 경제 복잡성
5. 활용
6. 나라별 순위
순위 나라 지수
(2018)5년
변화10년
변화1 일본 2.43 2 스위스 2.17 1 3 한국 2.11 4 8 4 독일 2.09 2 5 싱가포르 1.85 1 6 오스트리아 1.81 2 1 7 체코 1.80 1 2 8 스웨덴 1.70 3 9 헝가리 1.66 5 10 슬로베니아 1.62 3 3 11 미국 1.55 1 1 12 핀란드 1.55 2 1 13 영국 1.51 2 5 14 이탈리아 1.44 2 3 15 슬로바키아 1.41 1 16 프랑스 1.37 2 1 17 아일랜드 1.36 7 18 중국 0.96 |
2010년대 후반, 일본과 스위스는 꾸준히 높은 경제 복잡성 지수를 기록하며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은 2018년에 3위를 기록하며, 10년 동안 8계단 상승하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였다. 반면, 독일은 같은 기간 동안 순위가 하락했다.
6. 1. 2018년
2018년 국가별 경제 복잡성 순위는 다음과 같다.[6]
순위 | 나라 | 지수 (2018) | 5년 변화 | 10년 변화 |
---|---|---|---|---|
1 | 일본 | 2.43 | ||
2 | 스위스 | 2.17 | 1 | 1 |
3 | 한국 | 2.11 | 4 | 8 |
4 | 독일 | 2.09 | 2 | 2 |
5 | 싱가포르 | 1.85 | 1 | |
6 | 오스트리아 | 1.81 | 2 | 1 |
7 | 체코 | 1.80 | 1 | 2 |
8 | 스웨덴 | 1.70 | 3 | |
9 | 헝가리 | 1.66 | 5 | |
10 | 슬로베니아 | 1.62 | 3 | 3 |
11 | 미국 | 1.55 | 1 | 1 |
12 | 핀란드 | 1.55 | 2 | 1 |
13 | 영국 | 1.51 | 2 | 5 |
14 | 이탈리아 | 1.44 | 2 | 3 |
15 | 슬로바키아 | 1.41 | 1 | |
16 | 프랑스 | 1.37 | 2 | 1 |
17 | 아일랜드 | 1.36 | 7 | |
18 | 중국 |
6. 2. 2014년
2014년의 경제 복잡성 지수(ECI) 순위는 다음과 같다.[6]순위 | 나라 | ECI 값 | ECI 값 증감 (2013년 대비) | 순위 변동 (2013년 대비) |
---|---|---|---|---|
1 | 일본 | 2.25 | 0.04 감소 | 변동 없음 |
2 | 스위스 | 2.10 | 0.06 감소 | 변동 없음 |
3 | 독일 | 2.05 | 0.1 증가 | 변동 없음 |
4 | 스웨덴 | 1.89 | 0.06 증가 | 변동 없음 |
5 | 미국 | 1.80 | 0.22 증가 | 6 증가 |
6 | 대한민국 | 1.74 | 0.04 증가 | 1 증가 |
7 | 핀란드 | 1.74 | 0.1 증가 | 1 증가 |
8 | 싱가포르 | 1.73 | 0.1 증가 | 2 증가 |
9 | 체코 | 1.70 | 0.01 감소 | 3 감소 |
10 | 오스트리아 | 1.65 | 0.01 증가 | 1 감소 |
11 | 영국 | 1.60 | 0.12 감소 | 6 감소 |
12 | 슬로베니아 | 1.50 | 0.06 감소 | 변동 없음 |
13 | 프랑스 | 1.46 | 0.01 감소 | 변동 없음 |
14 | 헝가리 | 1.43 | 0.09 증가 | 1 증가 |
15 | 네덜란드 | 1.37 | 0.24 증가 | 5 증가 |
16 | 슬로바키아 | 1.35 | 변동 없음 | 2 감소 |
17 | 아일랜드 | 1.32 | 0.05 증가 | 1 감소 |
18 | 덴마크 | 1.26 | 0.07 증가 | 1 증가 |
19 | 이스라엘 | 1.24 | 0.02 증가 | 1 감소 |
20 | 멕시코 | 1.23 | 0.24 증가 | 3 증가 |
21 | 노르웨이 | 1.23 | 0.28 증가 | 3 증가 |
22 | 이탈리아 | 1.21 | 0.01 감소 | 5 감소 |
23 | 캐나다 | 1.20 | 0.5 증가 | 10 증가 |
24 | 폴란드 | 1.19 | 0.07 증가 | 3 감소 |
25 | 말레이시아 | 1.04 | 0.35 증가 | 9 증가 |
6. 3. 2013년
2013년 나라별 경제 복잡성 순위는 다음과 같다.[6]순위 | 나라 | 지수 (2018) | 5년 변화 | 10년 변화 |
---|---|---|---|---|
1 | 일본 | 2.43 | ||
2 | 스위스 | 2.17 | 1 | 1 |
3 | 대한민국 | 2.11 | 4 | 8 |
4 | 독일 | 2.09 | 2 | 2 |
5 | 싱가포르 | 1.85 | 1 | |
6 | 오스트리아 | 1.81 | 2 | 1 |
7 | 체코 | 1.80 | 1 | 2 |
8 | 스웨덴 | 1.70 | 3 | |
9 | 헝가리 | 1.66 | 5 | |
10 | 미국 | 1.62 | 3 | 3 |
11 | 영국 | 1.55 | 1 | 1 |
12 | 핀란드 | 1.55 | 2 | 1 |
13 | 슬로베니아 | 1.51 | 2 | 5 |
14 | 이탈리아 | 1.44 | 2 | 3 |
15 | 슬로바키아 | 1.41 | 1 | |
16 | 프랑스 | 1.37 | 2 | 1 |
17 | 아일랜드 | 1.36 | 7 | |
18 | 중국 | 0.96 | | | | |
참조
[1]
웹사이트
The Building Blocks of Economic Complexity
http://www.pnas.org/[...]
PNAS
2009-06-30
[2]
웹사이트
Supporting Appendix, The Building Blocks of Economic Complexity
http://www.pnas.org/[...]
PNAS
2009-06-22
[3]
서적
The atlas of economic complexity : mapping paths to prosperity
MIT Press
[4]
웹사이트
The Atlas of Economic Complexity
http://atlas.media.m[...]
Puritan Press
[5]
일반
[6]
웹인용
Complexity rankingsThe Atlas of Economic Complexity
https://atlas.cid.ha[...]
2020-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